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2

조선판 분실물 센터 – 분실 재산 신고와 습득물 처리 제도 우리는 현대 사회에서 물건을 잃어버리면 경찰서나 분실물 센터에 신고하여 되찾을 수 있는 시스템을 활용합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에는 잃어버린 물건을 어떻게 처리했을까요? 놀랍게도 조선에는 나름의 ‘분실물 행정 체계’가 존재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조선시대 사람들이 분실물을 어떻게 신고하고, 습득물이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지방 관아와 한양의 행정 기관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실록과 기록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1. 조선시대에도 '분실 신고'가 있었습니다조선은 유교적 법치주의 사회였으며, 개인의 재산 또한 법적으로 보호받았습니다. 따라서 재산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했을 경우, 이를 관아에 신고하는 절차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관할 관청: 현·군·부 단위의 관아 또는 포도청신고 방식: 구두 진술 또는 서면 진정서 제출.. 2025. 7. 12.
실제 있었던 조선시대 '유기견 포획단' 기록 오늘날에도 도시에서 유기견 문제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조선시대 한양에서도 유기견과 들개 문제가 심각하게 다루어진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당시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종의 '유기견 포획단'이 실제로 운영되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조선시대 유기견 문제의 실태와 그에 대응하기 위한 포획 활동, 관련 행정 기록을 중심으로 당시의 '유기견 포획단'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조선시대 유기견 문제의 배경조선시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한양과 주요 지방 도시는 인구 밀도가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기견과 들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유기견은 주로 기르던 개가 버려지거나 집을 잃고 떠돌아다니던 경우가 많았습니다.들개는 산이나 외곽에서 무리를 이루고 도심으로 내려오기도 했.. 2025. 7. 11.
고대 한국인의 시간 개념 – 하루는 몇 시간? 오늘날 우리는 하루를 24시간으로 구분하여 살아갑니다. 시간 단위는 매우 정밀하며, 분과 초까지 정확히 기록됩니다. 그러나 고대 한국인은 지금과는 다른 방식으로 시간을 인식하고 측정했습니다. 하루가 몇 시간인지에 대한 개념도 현대와는 차이가 있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고대 한국, 특히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통적인 시간 개념과 하루의 구성, 시간 측정 방법과 그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고대 한국의 기본 시간 단위고대 한국에서는 하루를 12시(十二時) 체계로 나누어 사용했습니다. 이는 중국 한나라에서 도입된 십이시법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12시는 하루를 12등분한 것입니다.각 시(時)는 오늘날 기준으로 약 2시간에 해당합니다.하루 24시간을 12등분하여 각 시가 차례로 흘러갔습니다.따라서 .. 2025. 7. 8.
조선의 길거리 간판과 광고 문화 오늘날 거리를 걷다 보면 다양한 간판과 광고물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도 상점과 장인들은 저마다의 방법으로 자신의 상품과 서비스를 알렸습니다. 비록 현대처럼 네온사인이나 디지털 광고는 없었지만, 조선만의 독특한 간판과 광고 문화가 존재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조선의 길거리 간판과 광고 문화가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했는지, 어떤 방식으로 상품과 서비스가 홍보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조선시대 상업 환경과 간판의 등장조선 초기에는 유교적 경제관에 따라 상업 활동이 억제되는 분위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도시가 성장하고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상점과 장인의 홍보 필요성이 커졌습니다.한양(서울)과 개성, 평양 등 주요 도시에서는 상업 활동이 활발했습니다.시장(.. 2025. 7. 6.
반응형